Java36 [Spring Boot] 페이징(Paging) 1. 페이징(Paging)이란?Paging은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제공할 때, 전체 데이터 중의 일부를 보여주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사용자에게 편히를 줄 뿐만 아니라, 전체 데이터를 로딩할 필요가 없어서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Spring Data JPA에서 페이징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2. 페이징의 기본 개념페이징은 보통 페이지 번호(page)와 페이지 크기(size) 으로 작동한다.page : 페이지 번호 (0부터 시작)size : 한 페이지 당 데이터 개수3. Spring Data JPA의 페이징 처리Spring Data JPA에서는 Pageable과 Pag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페이징 처리를 할 수 있다.Pageable 인터페이스Pageable pageable = PageReq.. 2024. 10. 19. [Java] private 1. 접근제어자접근 제어자는 클래스, 메서드, 변수 등의 접근 범위를 결정한다.public: 어디서나 접근 가능protected: 같은 패키지 또는 서브클래스에서 접근 가능default: 같은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 가능 (접근 제어자 미지정 시 기본값)private: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2. private의 특징캡슐화: private 멤버는 클래스 외부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와 메서드를 보호하고 클래스의 내부 구조를 숨기는 역할을 한다.정보 은닉: 클래스의 내부 데이터와 메서드를 외부에서 숨겨,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나 변경을 방지한다.접근 메서드 사용: 외부에서 private 멤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public 메서드(주로 getter와 setter)를 사용해야 된다. 2024. 10. 3. [Java] static 1. staticstatic 이라는 용어를 해석해보면 말그대로 정적 혹은 고정된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자바에서는 static 키워드를 사용하여 static 변수와 static 메소드를 생성할 수 있고, 이 둘을 합쳐 정적 멤버라고 한다. static 키워드를 가지고 있는 변수, 메소드는 객체(new 키워드로 인스턴스화 된 클래스)에 소속된 멤버가 아니라 클래스 자체에 소속된 멤버이다.2. static 특징메모리에 고정적으로 할당된다.static 키워드가 붙지 않는 변수나 메소드의 경우 객체가 생성될 때마다 호출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주소 값을 가지고 있다. 각 객체들에서 공통적으로 관리해야하는 경우는 static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객체 생성 없이 사용할 수 있다.static 멤버는 객체.. 2024. 10. 3. [Java] Maven 과 Gradle 차이점 (외장/내장) 1. 빌드 관리 도구 (Build Tool)빌드 관리 도구는 코드를 컴파일, 테스트, 패키징, 배포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입니다.컴파일 및 패키징 자동화빌드 도구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고, 결과물인 실행 가능한 파일(예: .jar, .war, .exe)을 자동으로 생성.의존성 관리빌드 관리 도구는 외부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고,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수 있게 설정해준다. 의존성 충돌(서로 다른 버전의 라이브러리 간 충돌)도 자동으로 관리한다.Maven과 Gradle은 중앙 리포지토리(Maven Central, JCenter 등)에서 의존성을 가져오는 기능을 제공한다.테스트 자동화빌드 도구는 프로젝트 내에 포함된 테스트 코드(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를 자동으.. 2024. 10. 3. [Java] JAR vs WAR 1. JAR (Java ARchive)JAR 파일은 Java 클래스 파일과 관련 리소스들(이미지, 텍스트 파일, 설정 파일 등)을 하나로 묶어서 배포할 수 있도록 만든 압축 파일. 일반적으로 Java 애플리케이션이나 라이브러리를 배포할 때 사용한다.JAR 파일의 주요 특징:Java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필요한 클래스 파일과 리소스를 포함.라이브러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프로젝트에서 쉽게 의존성으로 추가해 사용할 수 있음.실행 가능한 JAR의 경우, 메타데이터 파일(MANIFEST.MF)에 실행할 메인 클래스가 명시되어 있어, JAR 파일을 더블클릭하거나 명령어로 실행할 수 있음.예: java -jar myapp.jar단일 Java 프로그램을 배포할 때 적합.JAR 파일을 사용할 때:Java로 만.. 2024. 10. 3. [JPA] JPA(Java Persistence API) 1. JPA 배경요즘 시대는 객체를 관계형 DB에 관리한다. DB는 SQL 언어만 알아들을수 있어서 코드 보면 다 SQL 언어이므로 관계형 DB를 사용하는 이상 SQL 언어는 피하기가 쉽지 않다.그리고 SQL 중심적인 개발의 문제점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자바 객체를 SQL로 SQL을 자바 객체로 → 무한 반복과 지루한 코드패러다임의 불일치 관계형 DB = 데이터를 잘 정교화 해서 잘 보관 객체 = 필드 ,메서드 잘 갭슐화해서 쓰는게 목표 → 객체를 관계형DB에 넣으려고 하니 문제 발생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JPA가 만들어졌다.2. JPA 소개2-1. JPA이란?JPA(Java Persistence API)는 자바 진영의 ORM 기술 표준으로 자바에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관계형 데이.. 2024. 9. 22.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