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pring Boot24 [Day 6] 게시판 내 페이지 이동 1. 링크(link)와 리다이렉트(redirect)링크(link)란?미리 정해 놓은 요청을 간편히 전송하는 기능으로, 보통 페이지 이동을 위해 사용. or 태그로 작성하며 클라이언트가 링크를 통해 어느 페이지로 이동하겠다고 요청하면 서버는 결과 페이지를 응답 리다이렉트(redirect)란?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을 마친 후 계속해서 처리할 다음 요청 주소를 재지시하는 것. 이를 통해 분리된 기능을 하나의 연속적인 흐름으로 연결. 리다이렉트(재요청)를 지시받은 클라이언트는 해당 주소로 다시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이에 대한 결과를 응답2. 페이지 연결하기1. 새 글 작성 링크 만들기src > main > resources > templates > articles > index.mustache 에New Art.. 2024. 8. 2. [Day 5] Read(게시글 읽기) 1. 데이터 조회 과정1. 사용자가 데이터를 조회해 달라고 웹 페이지에서 URL 요청을 보낸다.2. 서버의 컨트롤러가 요청을 받아 해당 URL에서 찾으려는 데이터 정보를 리파지토리에 전달3. 리파지토리는 정보를 가지고 DB에 데이터 조회를 요청4. DB는 해당 데이터를 찾아 이를 엔티티로 반환5. 반환된 엔티티는 모델을 통해 뷰 템플릿으로 전달6. 최종적으로 결과 뷰 페이지가 완성돼 사용자의 화면에 출력2. 단일 데이터 조회하기1.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조회하려면 먼저 URL 요청을 해야한다. 2. URL에 포함된 id를 show() 메서드의 매개변수로 받는데, 이때 매개변수 앞에 @PathVariable 어노테이션을 붙인다. 그래야 URL의 id를 가져올 수 있다. 3. 리파지터리에서 DB에 저장된.. 2024. 8. 2. [Day 4] 롬복(lombok)과 리팩터링(refactoring) 1. 롬복(lombok)코드를 간소화해 주는 라이브러리이다. 롬복을 사용하면 여러 필수 코드가 반복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pringln() 문을 로깅 기능으로 대체 가능 src > build.gradle에 코드 추가 2. 로깅(logging)프로그램의 수행 과정을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다.3. 리팩터링(refactoring)코드의 기능에는 변함이 없이 코드의 구조 또는 성능을 개선하는 작업으로 코드의 가독성이 좋아지고 길이도 짧아져서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4. @AllArgsConstructor클래스 안쪽의 모든 필드를 매개변수로 하는 생성자를 만드는 어노테이션으로, 이를 사용하면 클래스 내에 별도의 생성자를 만들지 않아도 된다.Construtor, Getter, Setter, toStr.. 2024. 8. 2. [Day 3] Create(게시판 제작 및 글 작성) 1. 폼 데이터란?폼데이터는 HTML요소인 태그에 실려 전송되는 데이터이다. 태그는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며, 태그에 실어 보낸 데이터는 서버의 컨트롤러가 객체에 담아 받는다. 이때 이 객체를 DTO(Data Transfer Object)라고 한다.2. 폼 데이터를 DTO로 받고 DB에 저장하기1. articles/new.mustache 2. controller/ArticleController 3. dto/ArticleForm 4. entity/Article 5. repository/ArticleRepository 순서는 이렇게 된다.1. 입력 폼 만들기2. 컨트롤러 만들기3. 폼 데이터 전송하기4. 폼 데이터 받기5. DTO 만들기6. 폼 데이터를 DTO에 담기7. 입력 .. 2024. 8. 2. [Day 2] MVC 패턴 이해와 실습 1. 뷰 템플릿과 MVC 패턴뷰 템블릿이란? 화면을 담당하는 기술로, 웹 페이지를 하나의 틀로 만드고 여기에 변수를 삽입해 서로 다른 페이지를 보여준다.머스테치(Mustache) → 뷰 템플릿을 만드는 도구 MVC 패턴이란?View= 웹 페이지를 화면에 보여주기Controller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처리하기Model = 데이터를 관리하기View, Controller, Model 역할을 나누는 기법2. MVC 패턴을 활용해 뷰 템플릿 페이지 만들기1. 뷰 템플릿 페이지 만들기src > main > resources > templates → greetings.mustache 만들고 머스테치 플러그인 설치doc작성 후 + Tab 키 누르고 HTML 작성 2. 컨트롤러 만들고 실행src > main .. 2024. 8. 2. [Day 1] 스프링 부트(Spring boot) 시작! 1. 스프링 부트(Spring boot)란?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신속한 개발과 설정의 용이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자바 웹 프로그램을 더욱 쉽고 빠르게 만들기 위한 도구이다. ※ 스프링(Spring)과 스프링 부트(Spring boot) 차이점?스프링 부트는 사실 새로운 기술이라기보다는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를 개선한 것이다.개발 환경 설정을 간소화: 스프링은 버전에 따라 동작하는 외부 라이브러리를 일일이 연동하지만 스프링 부트는 미리 설정된 스타터 프로젝트로 외부 라이브러리를 최적화해 제공.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내장: 스프링 부트는 내부에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 Web Application Server)인 톰캣을.. 2024. 8. 1. 이전 1 2 3 4 다음